content="user-scalable=no, initial-scale=1.0, maximum-scale=1.0, minimum-scale=1.0, width=device-width"> 생산자 전성시대, 당신은 생산자인가? 소비자인가?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생산자 전성시대, 당신은 생산자인가? 소비자인가?

by 시크릿친구 2023. 3. 7.
Contents 접기
반응형

유튜브와 각종 SNS소통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나만의 노하우나 팁, 나만의 정보를 공유하여 생산적인 활동을 벌이고 있는 사람들이 많은 현실이다. 

 

생산자가 가지는 우위 선점

잠시 생산자와 소비자의 차이에 대해 개인적으로 생각해 보겠다. 석기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땅을 소유한 사람이 농작물을 다른 사람에게 대신 키우게 하여 노동의 대가로 일부 농작물을 나눠주고, 일부를 소유주가 가지는 행위 혹은 공장을 소유한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대신 공장업무를 시키고 노동의 대가로 판매금액의 일부를 나눠주고, 일부를 소유주가 가지는 행위 등, 인류사회에 있어 생산적 가치의 소유권을 가진 생산자(소유주)는 항상 가만히 있어도 자산이 들어오고 있어 다른 사람들 보다 우위를 선점하였다. 가만히 있어도 자산가치는 줄어들지 않고, 늘어나거나 없어지지 않는 것이다. 반대로 소비자(노동의 대가로 자산을 받음)는 가만히 있으면 자산가치는 들어오지 않는다. 항상 노동이든 특정 행위를 해야 생존이 이어진다.

 

현대 시대의 생산자란?

요즘은 서두에 언급한 유튜브, 각종 sns들을 활용해 자신만의 노하우로 생산적 가치를 발생시켜 돈을 벌고 있는 사람들이 대세이다. 이제는 땅이 아닌, 공장이 아닌, 그 누구라도 인터넷 공간이라는 자원에서 자신만의 공장(나만의 채널)을 소유할 수 있게 됐다. 자신만의 공장을 가지고 있는(유튜버, 파워블로거 등) 이런 현대시대의 생산자들은 잠잘 때도 수입이 들어오는 자본주의 사회의 우위를 선점하고 있다. (가치 있는 영상이나 포스팅 등에 광고가 붙기 때문에 노동을 안 해도, 계속 수입이 들어온다)

 

경쟁사회에 도태되지 말고, 우리도 생산자가 되자

필자도 다른 포스팅에서도 가치관이 나타나겠지만, 요즘 같이 가만히 있어도 수입 발생시키기 좋은 환경에서 한 가지 일만 해서 안주해 있는 것은 경쟁사회에서 도태된다고 본다. 멀티태스킹 시대에 한 가지 본업을 유지하면서, 하루 1~2시간이라도 천천히 자신을 업그레이드하여, 부업에 대해 고려할 필요가 있다. 우리 모두 잠잘 때도 수입이 들어오는 현대시대의 생산자가 되도록 노력하자.

반응형
  • 트위터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